맨위로가기

맹자 (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맹자》는 전국 시대 유가인 맹자가 저술한 어록으로, 제후들에게 유세하거나 제자들과 나눈 대화, 다른 사상가들과의 논쟁을 기록하고 있다. 당나라 시대에 평가가 높아졌고, 송나라 시대에는 사서에 포함되어 유교 경전으로서 중요하게 여겨졌다.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 본성의 선함, 왕도정치, 혁명론 등의 사상을 담고 있다. 맹자는 성선설을 통해 인간에게 내재된 선한 본성과 네 가지 싹을 강조했으며, 왕도정치를 통해 백성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이상적인 통치를 주장했다. 또한, 왕이 백성을 억압할 경우 혁명을 통해 교체될 수 있다는 혁명론을 제시했다. 맹자의 사상은 주자학, 일본의 학문, 중국 문학 비평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서오경 - 중용
    《중용》은 유교 경전으로, 자사의 저작으로 여겨지며, 중용, 중화, 성을 통해 자기 완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다.
  • 사서오경 - 대학 (책)
    《대학》은 유가의 핵심 경전으로, 자기 수양을 통해 개인의 완성을 이루고 사회 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을 제시하며 수기치인 사상을 바탕으로 삼강령과 팔조목을 제시하는 책이다.
  • 십삼경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십삼경 - 시경
    《시경》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305편의 시가를 국풍, 아, 송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으며, 유교 경전으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맹자 (책)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이름맹자
원어 이름孟子
로마자 표기Mengja
저자맹자
언어고대 중국어
주제철학
출판일기원전 4세기
국가중국
중국어 정보
중국어 간체孟子
병음Mèngzǐ
웨이드-자일스Mêng⁴ Tzŭ³
광둥어Maang⁶zi²
한국어 정보
한글맹자
로마자 표기Maengja
기타 정보
관련 인물만장 (저술 참여 가능성)

2. 역사적 배경

전국 시대는 주(周) 왕조의 권위가 쇠퇴하고, 각 제후국들이 패권을 다투던 혼란스러운 시기였다.[4] 맹자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인의에 기반한 왕도정치를 주장하며,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제후들에게 유세했다. 맹자는 직하 학궁에서 여러 학자들과 교류하며 공자의 유교 사상을 접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성선설을 주장했다.[5][4] 맹자의 사상은 송나라주자에 의해 사서의 하나로 격상되면서 유교의 핵심 경전으로 자리 잡았다.[3][2]

3. 구성

맹자》는 전국시대 유학자인 맹자가 각국의 제후들에게 유세를 하거나, 제자들과 나눈 대화, 혹은 고자 등 다른 사상가들과 논쟁한 것을 기록한 책이다.[1] 사기에 따르면 맹자가 은퇴 후 제자인 만장 등과 함께 지은 것이라는 설이 있으나, 실제로는 맹자 말년이나 사후에 제자들이 맹자가 남긴 말을 기록하여 엮은 것이라 생각된다.[1]

《맹자》는 총 7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편은 상하(上下)로 나뉜다. 7편은 다음과 같다.


  • 양혜왕(梁惠王)
  • 공손추(公孫丑)
  • 등문공(滕文公)
  • 이루(離婁)
  • 만장(萬章)
  • 고자(告子)
  • 진심(盡心)


각 편은 맹자와 제자들, 제후들, 다른 사상가들과의 대화 및 논쟁을 담고 있으며, 유교의 핵심 사상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왕도정치, 성선설 등을 다룬다. 특히 인간 본성에는 내재된 선이 존재한다는 맹자의 주장은 당시 사리사욕을 중시하던 양주와 같은 사상가들의 입장과 대조된다.[2]

맹자는 인간에게는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네 가지 '싹'이 존재한다고 보았다.[5][6] 이 싹들은 인간을 다른 존재와 구별하는 것이며, 환경의 문화적 동화 속에서 발전한다.[7][5] 맹자는 모든 사람이 타고난 연민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보편적인 의무라고 주장한다.[8]

3. 1. 양혜왕(梁惠王)

맹자는 여러 제후국을 돌아다니며 자신의 뜻을 피력하는 부분으로 상편은 7장, 하편은 16장으로 되었다. 그는 양혜왕(梁惠王)에게 왕도정치를 실시하라고 조언하고 있는데, 왕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누려야 그 즐거움이 오래갈 수 있으며, 왕이라도 잘못하면 왕위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1]

3. 2. 공손추(公孫丑)

맹자는 그의 제자인 공손추와 왕도정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패도정치를 축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가의 의리(義理)를 밝히고 자신의 포부를 나타내었다. 상편은 9장, 하편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 반구저기(反求諸己), 호연지기(浩然之氣), 인화(人和)라는 말이 여기에서 유래하였다.[1]

3. 3. 등문공(滕文公)

등문공(滕文公) 편에서는 왕의 국가 통치에 대한 맹자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상편은 5장, 하편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맹자는 왕이 중국 전 대륙을 통치하는 천자(天子)가 되기 원한다면 먼저 백성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인간에게는 인륜(人倫)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저버리면 아무리 훌륭한 행실을 해도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3. 4. 이루(離婁)

이루 편은 상편 28장, 하편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맹자는 자신의 본성을 추구하고, 자신을 바르게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3. 5. 만장(萬章)

萬章중국어은 덕(德)이 천도(天道)에 합치하면 도(道)를 얻고, 어질면(仁) 천하 사람을 얻는다는 인도(仁道)를 주장한다. 민의가 천의라는 사상과 관직에 나아갈 때도 때에 맞게 해야 한다는 사상을 제시한다.[1]

3. 6. 고자(告子)

맹자고자(告子)가 인간 본성(人性)에 대해 논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의(仁義)는 내적인 것이므로 구하면 얻을 수 있고, 구하지 않으면 잃어버린다고 주장한다. 상편은 20장, 하편은 1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차히 살지 말고 의로운 삶을 살라고 이야기한다. 왕도가 쇠퇴하는 것은 제후나 대부가 도를 숭상하지 않기 때문이고, 왕이 백성에게 예의를 가르치지 않고 이용만 하는 것은 백성을 해치는 것이라고 말한다.

3. 7. 진심(盡心)

盡心중국어은 백성이 나라에서 가장 귀하고, 학문에는 순서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상편 46장, 하편 3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속적인 욕망에 앞서 도덕적으로 깨끗한 삶이 군자로서 더 추구해야 할 것이며, 성인(聖人)의 도를 배우는 데에 순서가 있으며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4. 주요 사상

《맹자》는 전국시대의 유가였던 맹자가 각국의 제후들에게 유세를 하거나, 제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다른 사상가들과 논쟁한 것을 기록한 어록이다.[2] 이 책은 유교의 정치적 통치와 인자한 정치에 대한 생각을 광범위하게 확장한다.[4][5]

맹자는 인간 본성에 내재된 선이 존재한다는 성선설을 주장했다. 각 사람은 타고난 덕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그의 주장은, 인간 본성이 사리사욕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고 주장한 동시대 인물 양주(기원전 440 – 360년)의 입장과 대조된다.[2]

4. 1. 성선설(性善說)

맹자는 모든 사람이 본질적으로 기본적인 덕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덕목은 지식이 함양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된다는 타고난 선함의 이론, 즉 성선설을 발전시켰다.[5][4]

''맹자''에서는 '싹'이라는 개념을 통해 타고난 선함에 대한 이론을 탐구한다.[6][5] 맹자에 따르면, '싹'은 출생 시부터 존재하는 타고난 도덕적 습관이며, 개인의 '친애'(qīn|親중국어)와 관련이 있고, 가정 환경에서 성장한다.[6] 네 가지 '싹'은 다음과 같다.[5][6]

  • 인(rén|仁중국어)
  • 의(yì|義중국어)
  • 예(lǐ|禮중국어)
  • 지(zhì|智중국어)


이 네 가지 싹은 인간을 다른 존재와 구별하는 것이며, 타고난 것이지만, "마치 우리에게 네 개의 사지가 있는 것과 같이" (§2A:6) 환경의 문화적 동화 속에서 이러한 덕목이 발달한다.[7][5]

맹자는 또한 사람들이 특정 윤리적 상황에 대해 동일하게 반응하게 만드는 공통된 인간 본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맹자는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를 보고 관찰자가 즉시 나타낼 반응을 성공적으로 예측했을 때 (§2A:6) 이를 증명했다.[8] 맹자는 모든 사람이 타고난 연민을 가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연민이 보편적인 의무임을 시사한다.[8] 맹자는 연민이라는 물리적인 개념을 의무의 한 형태로 언급하며, "우리의 의무감은 마치 고기가 미뢰를 즐겁게 하는 것처럼 마음을 즐겁게 한다" (§4A:2)고 말한다.[8][7] 맹자에게 있어, 연민을 실천하는 것은 우리 자신을 물리적으로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의무를 다하는 것이다.[8]

4. 2. 왕도정치(王道政治)

맹자는 인의(仁義)에 바탕을 둔 왕도정치를 이상적인 정치 형태로 제시했다. 왕도정치는 백성을 사랑하고 보호하며, 백성의 삶을 안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맹자는 왕이 백성을 위해 존재하며, 백성의 뜻에 따라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4]

맹자는 왕도정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 왕은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누려야 그 즐거움이 오래갈 수 있다.
  • 왕이라도 잘못하면 왕위에서 물러나야 한다.
  • 왕이 중국 전대륙을 통치하는 천자가 되기 원한다면 먼저 백성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맹자는 제 선왕(BC 319~301)과의 만남에서 왕의 행동을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찾는 것'(緣木求魚|yuán mù qiú yú중국어)과 같다고 비판했다.[6][7] 또한, 맹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며 정치에서 자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황제는 자비롭지 않으면 천하를 유지할 수 없고, 제후는 자비롭지 않으면 사직을 보존할 수 없으며, 신하 또는 재상은 자비롭지 않으면 조상을 모시는 사당을 보존할 수 없으며, 군자나 평민은 자비롭지 않으면 사지를 보존할 수 없다. 이제 죽음을 싫어하면서 잔혹함을 즐기는 사람은 마치 술을 싫어하면서도 술을 과음하는 사람과 같다.[7][6]

맹자는 힘으로 다른 사람을 제압하는 것에 반대하며, 덕(德)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7][6][9]

4. 3. 혁명론(革命論)

《맹자》는 '살인을 좋아하지 않는 군주'가 천하를 통일할 것이며, 군주가 포악하고 무도하여 천명(天命)이 떠나면 필부(匹夫)에 불과하다는 왕도정치(王道政治)와 혁명론(革命論)을 주장한다.[15]

5. 영향

孟子중국어』는 전국시대의 유학자 맹자가 여러 나라의 제후들에게 유세하거나, 제자들과 나눈 대화, 혹은 고자 등 다른 사상가들과의 논쟁을 기록한 어록이다. 사마천의 史記중국어에 따르면, 孟子중국어는 맹자가 은퇴한 후 제자인 만장 등과 함께 지은 것이라는 설이 있지만, 실제로는 맹자 말년이나 사후에 제자들이 맹자의 말을 기록하여 엮은 책으로 추정된다.

孟子중국어는 오랫동안 크게 인정받지 못했으나, 남송 주자가 孟子중국어사서(四書)의 하나로 인정하고 주석을 단 이후 십삼경의 하나로 인정받으며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쳤다.[1] 특히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당나라 한유유종원은 孟子중국어 평가를 높이는 데 공헌했고, 오대십국 시대 후촉 황제 맹창석경에 孟子중국어를 포함시켜 경서로 대우한 최초의 사례를 남겼다.[15] 북송 왕안석은 孟子중국어를 과거 시험 과목에 추가했으나, 사마광은 『의맹』중국어을 저술하여 반발했다.

5. 1. 주자학(朱子學)에의 영향

주희(朱子)는 남송 시대에 『맹자』사서(四書)의 하나로 포함시켜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북송왕안석이 『맹자』를 과거 시험 과목으로 추가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16] 반면, 사마광은 『의맹』을 작성하여 이에 반발하기도 했다.[16] 주자는 『맹자』를 논어, 대학, 중용과 함께 사서(四書)로 묶어 유교의 핵심 경전으로 격상시켰으며, 이후 『맹자』는 · 시대에 이르기까지 과거 시험의 주요 과목이 되었다.[16]

주자는 맹자성선설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주자학의 핵심 이론으로 정립했다. 맹자는 모든 사람이 본성적으로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본성은 지식을 함양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5][4] 이러한 맹자의 사상은 주자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2. 일본에의 영향

일본에 『맹자』가 전해졌지만, "역성혁명" 개념은 받아들여지지 않아 널리 유포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끊임없이 변천하는 중국 정권과 달리, 일본 천황가는 정치 체제 변동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으로라도) 정점에 계속 있었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20]

그러나 우다 천황 간페이 3년(891년) 후지와라노 사요가 저술한 『일본국 견재 서목록』에는 이미 『맹자 조기주』 14권 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맹자』를 실은 배는 일본에 도착하기 전에 침몰한다"는 전설은 위험에 가득 찬 항해자의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20]

『맹자』가 중국에서 유교 경전으로서 지위가 인정받은 시대(북송 후기~남송 전기)에는 견당사가 이미 폐지되어 중일 간 학술 교류가 대폭 축소되었고, 일본 유교는 견당사 폐지 이전 당대 유교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따라서 일본 대학료 명경도 교과서에는 『맹자』가 포함되지 않았고, 가마쿠라 시대 이전 일본에서는 『맹자』를 거의 알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20]

유교 경전으로서 『맹자』 전래는 가마쿠라 시대 송학의 일부로서 이루어졌다고 여겨진다. 하나조노 상황이 황태자 료닌 친왕(후 고곤 천황)에게 보낸 『계태자서』에는 『맹자』 혁명설이 인용되었고, 『쓰레즈레구사』, 『타이헤이키』에도 『맹자』 지식이 엿보이는 등, 이미 지배층과 지식인 사이에서는 『맹자』가 널리 알려져 있었다. 고다이고 천황이나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맹자』를 비롯한 사서를 강습한 것은 천황을 비롯한 공가 사회 유행이었으며, 『맹자』에 기록된 성선설, 인의설 등은 송학 전래 이후 이른 시기부터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서 수용되었다.[20]

5. 3. 해석학(解釋學)에의 영향

''맹자''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철학적, 문학적 텍스트이다. E. 브루스와 A. 타에코 브룩스는 이러한 다양한 해석들이 각 세대의 독자들을 대표하는 지속적인 담론에 속한다고 말한다.[1] 예를 들어 제임스 레그와 같은 학자들은 빅토리아 시대 선교사의 관점에서 ''맹자''를 비교 탐구하여 서양 독자들에게 이 텍스트를 소개했다. 텍스트가 문화와 시간을 초월하는 능력은 베휴니악과 같은 학자들에게 이 작품을 세계 고전으로 만드는 요인으로 여겨진다.[5]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웹사이트 管理錦囊/正面看待衝突管理 https://udn.com/news[...] 2024-06-04
[10] 서적 The Tao and the Logos: Literary Hermeneutics, East and West Duke University Press
[11] 논문
[12] 서적 Chinese Theories of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문서 人物としての孟子は一般に「もうし」と読むが、書物としての『孟子』は「もうじ」と読む。なお、「もうし」の慣用読みも一般化しつつある。
[14] 서적 Masterpieces of World Philosophy HarperCollins
[15] 문서 趙岐『孟子題辞』による
[16] 인용
[17] 웹사이트 第8回 「中華」の世界観と「正統」の歴史 https://ocw.u-tokyo.[...]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教養学部
[18] 웹사이트 基調講演記録 華夷の変 ―華語語系研究の新しいビジョン― http://id.nii.ac.jp/[...] 愛知大学国際問題研究所 2020-03-16
[19] 웹사이트 清朝の「非漢民族世界」における「大中華」の表現 : 『大義覚迷録』から『清帝遜位詔書』まで http://id.nii.ac.jp/[...] 島根県立大学北東アジア地域研究センター 2018-09
[20] 서적 南北朝期の『孟子』の受容の一様相-二条良基とその周辺から 国文学研究資料館紀要
[21] 문서 『童子問』第三章、「天下ノ理、語孟二書二到リテ盡ク。復(また)加ウベキコト無シ。疑フ勿カレ。」
[22] 문서 同第七章「學者孟子ヲ熟讀セズンバ、必ズ論語ノ羲ニ達スルコト能ハズ。蓋シ論語ノ津筏ナリ。」
[23] 문서 「大学・中庸」は金谷治訳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